3항 – “연면거리”의 정의를 이해하는 방법

연면 거리: 두 전도성 부분 사이 또는 전도성 부분과 접근 가능한 표면 사이의 절연체 표면을 따른 최단 거리.

전하는 공기를 통해 방향성 방식으로 전파되어 전류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정리의 의미입니다. 어떤 물질도 완전히 절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전하는 절연 물질 자체를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전위가 다른 두 개의 전극을 일반 A4 인쇄 용지의 양면과 2mm 두께의 트레드 고무 재질의 양면에 적용했을 때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류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전하는 절연 재료의 표면을 따라 방향성 방식으로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재료의 표면에서 전하 전파가 미치는 영향도 다릅니다. 절연체 표면에 다른 물질(오염물질)이 부착되면 전하 전파 효과도 달라집니다. 절연체 표면을 따라 전하가 전파되어 감전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면 거리에 대한 정의 및 요구 사항이 생성됩니다. 절연체 본체를 통한 전하 전파는 29항의 첫 번째 단락에 언급된 고체 절연 요구 사항을 생성합니다. 29.2항에는 연면 거리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나와 있습니다.



연면 거리의 정의는 IEC 60664-1:2020 표준에서 나옵니다. 연면거리를 설명해야 하므로 IEC 60664-1:2020 표준의 그림 4~그림 14의 그림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여기서 독자는 “X mm”을 결정하는 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연면 거리가 형성된 경로에 홈이 있는 경우 브리지 홈 상황이 발생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브리징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홈에 오염물질이 쌓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주로 먼지이며, 습한 먼지는 전도성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표준의 원문을 복사할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정이 있습니다.
– 홈을 가로지르는 거리가 지정된 너비 X(표 1 참조)보다 작은 경우 연면 거리는 홈을 가로질러 직접 측정되며 홈의 윤곽은 고려하지 않습니다(그림 4 참조).
– 홈을 가로지르는 거리가 지정된 너비 X(표 1 참조)보다 크거나 같으면 연면 거리는 홈의 윤곽을 따라 측정됩니다(그림 5 참조).
– 모든 리세스는 지정된 너비 X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가장 불리한 위치에 배치되는 절연 링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됩니다(그림 6 참조).
– 서로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부품 사이에서 측정된 공간거리 및 연면거리는 이러한 부품이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을 때 측정됩니다.


그림 4 – 홈 건너편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폭이 X mm 미만이고 모든 깊이의 평행 또는 수렴 측면 홈이 포함됩니다.
규칙: 공간거리와 연면거리는 그림과 같이 홈을 가로질러 직접 측정됩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5 – 홈의 윤곽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임의의 깊이와 Xmm 이상의 평행한 홈이 포함됩니다.
규칙: 여유 공간은 “시선” 거리입니다. 크리피지 경로는 홈의 윤곽을 따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6 – 각도에 따른 홈의 윤곽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폭이 Xmm보다 큰 V자형 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규칙: 여유 공간은 “시선” 거리입니다. 연면 경로는 홈의 윤곽을 따르지만 X mm 절연 링크로 홈의 바닥을 덮습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7 – 리브의 윤곽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 리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규칙: 틈새는 리브 상단 위의 가장 짧은 직접 공기 경로입니다. 크리피지 경로는 리브의 윤곽을 따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8 – X보다 작은 홈이 있는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각 측면에 폭 X mm 미만의 홈이 있는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가 포함됩니다.
규칙: 공간 및 연면 경로는 표시된 “가시선” 거리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9 – X 이상의 홈이 있는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각 측면에 X mm 이상의 홈이 있는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가 포함됩니다.
규칙: 여유 공간은 “시선” 거리입니다. 연면 경로는 홈의 윤곽을 따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10 – X보다 작은 한쪽에 홈이 있는 비시멘트 조인트

조건: 고려 중인 경로에는 한쪽 면에 폭이 X mm 미만이고 다른 면에 폭이 X mm 이상인 홈이 있는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가 포함됩니다.
규칙: 그림과 같이 클리어런스 및 크리피지 경로 영역.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11 –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를 통한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조건: 접합되지 않은 조인트를 통한 연면 거리가 해당 조인트 위의 연면 거리보다 작습니다.
장벽이지만 장벽 상단의 간격보다 더 큽니다.
규칙: 클리어런스는 장벽 상단 위로 가장 짧은 직접 공기 경로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12 – X보다 큰 나사머리까지의 연면거리와 공간거리

나사 머리와 홈 벽 사이의 간격을 고려할 수 있을 만큼 넓습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13 – X보다 작은 나사머리까지의 연면거리와 공간거리

나사 머리와 오목한 벽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고려할 수 없습니다.
연면거리 측정은 나사 머리부터 벽까지의 거리가 X mm일 때입니다.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그림 14 – 전도성 부동 부품의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C: 전도성 부유부
틈새는 거리이다 = d +
연면거리도 = d +
참고 최소 간격에 대해서는 표 F.2를 참조하십시오. d.


클리어런스


연면거리

다음 예에 명시된 치수 X는 다음과 같이 오염도에 따라 최소값을 갖습니다.
오염도치수 X 최소값
10,25mm
21,0mm
31,5mm
표 1 – 홈 치수

관련 틈새 요구 사항이 3mm 미만인 경우 최소 치수 X는 관련 틈새의 1/3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Xmm”의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위의 표를 기준으로 오염도 3을 가정하고 5mm의 경로를 측정하고 경로에서 홈을 찾으면 X = 1,5mm(오염도를 고려)입니다. 측정한 거리가 2,7mm이면 X = 2,7mm/3 = 0,9mm입니다.



예제 11을 따로 설명해보자. 위 그림은 IEC 60664-1:2007 버전에서 나온 것입니다. 독자들이 그림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d와 gt;X일 때만 클리어런스가 거리 = d + D가 참이고, 그렇지 않으면 클리어런스가 D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와 d의 계산 규칙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오류이며 표준에서는 잘못된 요구 사항을 제공한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IEC 60664-1:2020 표준 버전에서는 이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연면거리에 대한 규칙은 공간거리에 대한 규칙보다 훨씬 더 복잡하며, 29절의 요구사항도 더 복잡합니다. 연면 거리와 관련하여 독자들이 위의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면 IEC 60335 표준 시리즈를 구현하는 데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29.2절의 연면 거리에 대한 요구 사항은 29.2절을 소개할 때 자세히 소개됩니다.

Similar Posts